
정부가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를 논의한다는 기사가 나올 때마다 온라인은 누리꾼들의 설왕설래로 시끌벅적해져요. 하루라도 더 쉬면 좋지 않냐는 의견이 있는 반면 임시공휴일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불공평하다는 의견도 있어요. 또 우리나라는 공휴일 수 자체가 적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있고요.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검토하는 배경에는 국민 휴식을 보장하는 동시에 내수 소비를 늘리겠다는 목적도 있어요. 하지만 이런 낙수효과를 모두 체감하느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립니다. 이번 생생 MZ 톡에서는 우리나라 공휴일 제도 전반에 대한 MZ세대의 솔직한 목소리를 들어봤어요.
참가자
포도잼(31세, 회사원)
곽철(30세, 회사원)
판테라(41세, 사무직)
궁금하니(28세, 회사원)
두부튀김(35세, 프리랜서)
Q. 5월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기를 바라나요?
포도잼
솔직히 임시공휴일로 지정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5월 1일 근로자의 날도 공무원이나 중소기업 직원은 쉬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또 중소기업 중엔 임시공휴일에 쉬는 대신 연차를 깎기도 해요. 상대적 박탈감만 더할 것 같아요.
곽철
포도잼님 의견에 동의해요. 임시공휴일이 생겨도 연차를 강제로 쓰거나 출근하는 경우가 많아요. 거래처는 다 쉬는데 저만 출근해서 할 일 없이 앉아 있던 적도 있어요. 임시공휴일보다 공식적인 공휴일을 늘리는 것이 모두에게 좋다고 생각해요.
판테라
임시공휴일 지정에 찬성해요. 내수 진작 효과는 차치하고라도 하루 쉬면서 기분 전환을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어요. 물론 해외여행으로 인한 외화 유출 우려도 있지만 임시공휴일을 연초에 미리 정해 휴일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지금처럼 갑자기 발표하는 방식은 실효성이 떨어져요.
궁금하니
저는 프리랜서라 임시공휴일 지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과로에 지친 친구들이 쉴 수 있으면 좋겠어요. 생각해보니 클라이언트 쪽 업체들이 쉬면 프리랜서도 조금 여유 있는 하루를 보낼 수 있긴 하네요.
Q. 우리나라 공휴일, 많다고 생각하나요? 적다고 생각하나요?
판테라
공휴일이 더 많아져야 해요. 특히 계절적으로 체력 소모가 큰 시기에 쉬는 날이 꼭 필요해요. 자동차 부품 쪽 제조 회사에 다니는데 겨울은 휴가가 따로 없어 너무 힘들어요. 생산라인도 빡빡하게 돌아가는 시기라 하루라도 숨 돌릴 수 있는 날이 있다면 업무 효율도 더 올라갈 것 같아요.
포도잼
적다고 생각해요. 예전엔 제헌절, 식목일도 공휴일이었잖아요. 임시공휴일로 공휴일 수를 조정할 게 아니라 공휴일 자체를 늘리는 방향이 더 맞다고 생각해요.
두부튀김
공휴일 수가 문제가 아니라 실제 연가를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회사가 훨씬 많다 보니 진짜 휴식은 불가능한 게 현실이에요. 포괄임금제 때문에 퇴근시간도 제대로 안 지켜져요. 야근 수당은 없애면서 야근을 안하면 눈치 주는 문화가 여전해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한국은 노동시간이 긴 편이에요. 공휴일 수만 놓고 논의하는 건 의미가 없어 보여요.
Q. 공휴일을 더 늘린다면 어떤 날이 좋을까요?
곽철
월별로 공휴일이 배치되면 좋겠어요. 7월처럼 공휴일 하나 없는 달은 정말 힘들어요. 임시공휴일이나 법정공휴일에 해외로 많이 나간다고 하던데 평소에 휴가를 마음대로 못 쓰니까 비행기 값이 비싸도 감수하고 떠나는 거 아닐까요?
궁금하니
국가적 기념일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할 게 아니라 국민과 함께 협의하면 좋겠어요. 그리고 국내 여행을 유도하려면 임시공휴일이 아니라 지역의 매력을 높이는 데 먼저 힘을 써야 한다고 생각해요. 내수 진작 목적의 임시공휴일은 앞뒤가 바뀐 정책이라고 느껴져요.
포도잼
해외의 크리스마스 시즌, 부활절처럼 길게 쉴 수 있는 시즌이 있으면 좋겠어요. 물론 설이나 추석이 있긴 한데 가족 행사가 많다 보니 진짜 쉰 것 같지 않아요. 봄이나 겨울에 직장인들이 진짜 방학처럼 쉴 수 있는 시간이 있으면 좋겠어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