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의 계절은 언제일까? 겨울에 열매를 맺게 될까? 집 뒤뜰 귤나무│우희덕
사람은 모두 다르다. 겉모습에 국한되지 않는다. 같은 사안을 놓고 전혀 다른 말을 한다. 어떤 사람은 내가 제주로 이주한 것을 두고 그 좋은 직장을 그만두고 그 편한 도시의 삶을 포기하고 왜 제주로 내려갔냐고 말한다. 그것도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시골 마을로. 누군가에게 나는 이성적인 판단이 결여된 이해 못할 사람일 뿐이다.
반면에 지금 내가 걷고 있는 길, 이른 퇴사와 제주 이주, 소설가로서 삶이 자신의 꿈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내 통장 잔액을 보면 해당 발언을 즉시 철회하겠지만 차치하고, 어떻게 사는 게 맞는 것인지, 제주의 삶이 그만큼 좋은지 나쁜지 알 수 없다. 나 스스로도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내가 선택한 삶이 생각대로 흘러갈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이 길의 끝에 무엇이 있을지 알 수 없다. 한 가지 말할 수 있는 것은 그저 다른 삶이 있을 뿐이라는 것. 사람이 모두 다른 만큼, 다른 삶이 있을 뿐이라는 것. 타인의 삶을 침해하지 않는 이상 틀린 삶은 없다.
제주로 이주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예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다르다. 일단 개인주의 성향인 내가 넉살이 좋아졌다. 예전에는 모르는 사람에게 먼저 말을 거는 경우가 드물었는데 지금은 이웃 할머니 집에 먼저 찾아가 이런 저런 대화를 나누고 옆집 아저씨에게는 먹거리들을 나눠드린다. 제주 방언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마을 이장님과도 통역 없이 소통하며 자문을 구한다.
근검절약은 차원이 달라졌다. 경제적 자유를 이루지 못하고 퇴사한 내가 생존하려면 아끼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제주의 겨울은 생각 외로 춥다. 바람이 심하고 습도도 높다. 남쪽의 따스함을 만끽하며 살 줄 알았는데 내 몸은 늘 냉랭한 상태다. 분명 제주인데 밤에는 강원도 전방 지역보다 더 춥다. 보일러를 마음껏 가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제주의 가스비는 가히 공포에 가깝다. 체감적으로 수도권 도시가스보다 2~3배 비싸다. 얼어 죽든지 맘 놓고 때서 죽든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무엇보다 먹는 것이 달라졌다. 음식은 절대 남기지 않고 음식물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 음식은 되도록 먹지 않는다. 또 흑돼지 구이와 김치찌개를 제일 좋아하던 내가 제주 돼지의 사육 실태와 악취 문제를 목도한 이후로는 돼지를 먹지 않는다. 그것은 개인의 엄청난 변화다. 생명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제주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제주에 온 이후로 시계를 잘 보지 않는다. 날짜를 계산하지 않는다. 그것이 도시에 있을 때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다. 내 삶의 속도를 늦추는 것은 어쩌면 그만큼 더 크게 변화하고 싶다는 방증일 것이다. 지금의 나와 앞으로의 나는 또 어떻게 달라질까? 한 가지 말할 수 있는 것은 내 앞에 올바른 삶이나 틀린 삶이 아닌 다른 삶이 있을 뿐이라는 것.

우희덕 코미디 소설가_ 장편소설 <러블로그>로 제14회 세계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벗어나 본 적 없는 도시를 떠나 아무것도 없는 제주 시골 마을에서 새로운 삶을 모색하고 있다.
지금 정책주간지 'K-공감' 뉴스레터를 구독하시고, 이메일로 다양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