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엔 식중독의 위험이 낮아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겨울에 더욱 기승인 바이러스가 있다. 영하 20℃에서도 살아남는 노로바이러스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5년 동안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102건으로 전체의 약 42%를 차지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의 원인인 식품류로는 조개나 굴 등 익히지 않은 어패류가 가장 많았고 가열하지 않은 채소와 지하수 순이었다. 또 감염자의 대변이나 구토물, 감염자가 접촉한 물건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되기도 했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위장에 염증을 일으키고 24~48시간 잠복기를 거친뒤 설사·구토·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전염성은 증상이 발현될 때 가장 강하고 회복 후에도 3일에서 길게는 2주까지 전염력이 유지된다.
겨울철엔 날씨가 추워지면서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가 소홀해지기 쉽고 실외보다 실내활동이 많아지면서 사람 간 전파 가능성도 높다. 먼저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므로 손을 씻을 때는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음식 조리 시 어패류는 중심 온도 8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하며 노로바이러스 오염 가능성이 있는 지하수는 반드시 끓여 마셔야 한다. 조리된 음식은 맨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하고 채소류 등 비가열 식품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섭취해야 한다. 칼·도마 등 조리도구는 육류, 생선, 채소 등 식재료에 따라 구분해 사용하고 다 쓴 후에는 열탕 소독하거나 살균소독제로 소독 후 세척한다. 구토·설사 등 감염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은 조리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 동안은 조리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고 이미 감염된 환자와 생활공간을 공유한다면 화장실, 문손잡이 등은 염소를 희석한 소독제로 소독한다. 특히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오염물을 처리할 때는 위생용 비닐장갑, 마스크 등을 착용한다.
영유아의 경우 면역력이 낮아 쉽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어린이집에서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려면 예방수칙 준수가 필수”라며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유증상자는 등원을 자제하고 집단환자 발생시 가까운 보건소로 신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슬기 기자
지금 정책주간지 'K-공감' 뉴스레터를 구독하시고, 이메일로 다양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신청
K-공감누리집의 콘텐츠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콘텐츠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출처] K-공감누리집(gonggam.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