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사에게 말을 건넬 때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사회초년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씩 고민해보는 문제예요.
직함을 잘못 부르거나 이름 뒤에 ‘씨’를 붙였다가 혼난 경험도 있을 거예요. 승진했는데 여전히 예전 호칭으로 부르는 동료 때문에 기분이 상한 적도 있지 않나요? 이처럼 직장 내 호칭 문제는 생각보다 민감한 주제인데요. 이런 문제들을 없애려고 요즘에는 직함을 떼고 영어 닉네임으로 부르는 문화가 도입되기도 해요. 직장 내 호칭 문화,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호칭만 바꾼다고 수평문화가 만들어질까요? MZ세대 직장인들의 솔직한 경험담을 들어봤습니다.
참가자
교히(29세, 직장인)
어린이날(26세, 직장인)
팀장퇴사기원1일차(32세, 직장인)
수평지향(32세, 직장인)
검은오리(32세, 프리랜서)
꼬똥이(26세, 직장인)
햄들다(32세, 마케터)
설레임(24세, 사무직)
Q. 직장에서 동료를 부를 때 주로 어떤 호칭을 쓰나요?
교히
우리 회사는 사원, 선임, 책임, 팀장 순으로 직급이 올라가는 구조예요. 잘 모르는 분께 말을 붙여야 할 때는 ‘선임님~’ 하면 대부분 통하더라고요. 직책을 잘 모를 땐 ‘사원’으로 부르는 게 가장 무난한 것 같아요.
햄들다, 설레임
보통 같은 사원끼리도 이름에 ‘님’을 붙여서 부르는 편이에요. ‘씨’는 뭔가 딱딱하다고 할까요? 개인적으로는 님이 더 부드럽고 존중하는 느낌이 들어서 선호해요. 상대방도 기분 좋게 받아들이는 것 같고요. 요즘엔 많은 회사가 ‘님’ 호칭을 선호하는 것 같아요.
팀장퇴사기원1일차
제가 다니는 직장에서는 나이 차이가 세 살 내외인 경우 서로 편하게 이름에 ‘씨’만 붙이고 높은 직급은 직책을 붙여서 불러요.
수평지향
사기업에 있다가 공직유관단체로 왔는데 두 곳 모두 이름이나 성에 직급을 붙여서 소통했어요. 다만 공직유관단체에서는 상급자가 직급 빼고 이름만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고 반말로 얘기하는 경우도 많아요. 친밀도를 높이는 데는 반말이 좋은 것 같지만 감정적일 때나 지적사항을 말할 때 하급자 입장에서는 더 기분 나쁘게 들리더라고요.
Q. 호칭 때문에 불편하거나 불쾌했던 경험이 있나요?
검은오리
예전에 신입 입사 후 상급자를 부를 때 ‘저기…’라고 말문을 열었다가 호되게 혼난 적이 있어요. 상급자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 전혀 알지 못했고 그런 걸 알려주는 교육도 받아본 적이 없거든요. 그리고 남성 직원에게 오빠라는 호칭을 하는 경우도 봤는데 좋아 보이지는 않았어요.
교히
사원에서 선임으로 승진한 지 반년이 됐는데 아직도 다들 사원 때처럼 ‘씨’라고 부르더라고요. 호칭이 바뀌지 않으니까 뭔가 아직 인정받지 못한 느낌이 들어서 아쉬워요.
어린이날
직급이 통합되면서 ‘대리+과장’은 책임, 차장은 수석으로 바뀌었는데도 대부분 습관적으로 예전 직함으로 부르더라고요. 승진은 했는데 호칭이 똑같으니까 성취감이 떨어지더라고요.
설레임
3년 전에 입사한 첫 직장에서 입사 시기로는 선배지만 직책은 같은 동료에게 ‘씨’라고 불렀다가 상사에게 꾸중을 들었어요. 입사 시기가 더 빠른 경우 선배로 불러야 한다면서요. 그 후로는 꼬박꼬박 ‘선배님’ 혹은 ‘님’ 호칭을 사용하고 있어요.
Q. ‘님’, ’씨’ 대신 외국처럼 이름을 부르는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어린이날
미국에 교환학생으로 간 적이 있는데 교수님 이름을 부르는 게 처음에는 너무 불편했어요.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아직 위계질서가 있고 예의를 중시하는 문화가 강해서 갑자기 이름만 부르기에는 부담스럽지 않을까요?
검은오리
그냥 이름을 부르기가 어색하니까 영어 이름으로 대체하는 회사들이 많더라고요. 그런데 갑자기 영어 이름을 쓰는 것도 좀 어색할 것 같아요.
꼬똥이, 설레임
회사에서 영어 이름을 사용하는데 수평적인 느낌이 들고 좋아요.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부르다보니 자연스러워지고 직급이나 나이에 상관없이 편하게 부를 수 있어서 마음이 편해요. 영어 이름을 만들어두니 회사 밖에서 닉네임으로 활용하기에도 좋더라고요.
교히, 수평지향
서로 존중하는 분위기가 없는 회사에서 갑자기 이름만 부르는 건 성급한 것 같아요. 호칭을 친근하게 바꿔 부르는 것만으로 수평적인 조직 문화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서로 존중하는 의미에서 이름에 ‘님’ 호칭을 붙이는 게 더 나을 것 같아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지금 정책주간지 'K-공감' 뉴스레터를 구독하시고, 이메일로 다양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신청
공감누리집의 콘텐츠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콘텐츠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출처] 공감누리집(gonggam.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