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완서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 나오는 싱아는 어떻게 생겼을까. 풀일까, 나무일까. 먹는 것 같은데 열매를 먹는 걸까, 잎을 먹는 걸까. ‘싱아’라는 말에서 싱그러운 맛이 날 것 같긴 하다. 초판을 낸 후 이 같은 궁금증이 많았는지 개정판은 표지 다음에 작은 싱아 그림과 함께 설명을 넣어놨다.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m 정도로 줄기가 곧으며 6~8월에 흰꽃이 핀다.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고 어린잎과 줄기를 생으로 먹으면 새콤달콤한 맛이 나서 예전에는 시골 아이들이 즐겨 먹었다.’
이 소설은 작가가 자신의 코흘리개 시절부터 스무 살 대학생으로 6·25전쟁을 겪기까지 과정을 담은 자전적 소설이다.
작가는 여덟 살 때 교육열에 불타는 엄마 손에 이끌려 상경해 국민학교에 입학한다. 고향에서 마음껏 뛰놀던 소녀가 갑자기 서울 현저동 산동네에 틀어박혀 살아야 하니 고향에 대한 향수를 느꼈을 것이다. 여덟 살 소녀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하는 것이 싱아다.
‘나는 불현듯 싱아 생각이 났다. 우리 시골에선 싱아도 달개비만큼이나 흔한 풀이었다. 입안에 군침이 돌게 신맛이, 아카시아꽃으로 상한 비위를 가라앉히는 데는 그만일 것 같다. (중략) 나는 마치 상처 난 몸에 붙일 약초를 찾는 짐승처럼 조급하고도 간절하게 산속을 찾아 헤맸지만 싱아는 한 포기도 없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요즘에도 싱아는 쉽게 찾기 어려운 식물이다. 다만 실제로는 소설 배경지 주변에 싱아가 있었지만 꼬마 박완서가 찾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박완서가 헤맨 산은 인왕산인데 둘레길에서 싱아 군락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에도 가끔 싱아가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하다는 사람이 있으면 인왕산 둘레길로 데려가 싱아를 보여준다.
글·사진 김민철
야생화와 문학을 사랑하는 일간지 기자. 저서로 ‘꽃으로 박완서를 읽다’, ‘문학 속에 핀 꽃들’, ‘꽃을 사랑한 젊은 작가들’ 등 다수가 있다.
지금 정책주간지 'K-공감' 뉴스레터를 구독하시고, 이메일로 다양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신청
공감누리집의 콘텐츠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콘텐츠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출처] 공감누리집(gonggam.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