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
전 세계적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기후위기는 가장 중요한 지구의 환경문제가 됐다. 이런 심각성을 인식하고 많은 국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인간이 활동하면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하거나 없애 실질적인 탄소배출량을 0(제로)으로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기후위기의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국제사회는 수십 년 전부터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하고 참여국 확대와 의무이행을 독려하고 있다.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내로 억제하려면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2020년 10월 28일 탄소중립을 공식 선언하고 2020년 12월 7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공개했다. 정부는 민간의 자율적 협조에 기대서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해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기업, 개인 모두의 노력이 절실한데 사회 곳곳에서 의미 있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021년 6월 225개 기초지방자치단체가 기후위기비상선언에 나선 것을 시작으로 2021년 7월에는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며 56곳에 달하는 공공기관 등은 탈석탄 금고 선언에 동참했다.
국내 기업들도 이러한 새로운 국제적 질서에 도태하지 않기 위해 ‘RE100(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 동참 선언, 탄소중립 선언 등 적극적인 행보에 나서고 있다. 주민 주도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에 참여하고 이익을 공유하며 에너지전환에 적극 나서는 등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도 줄을 잇고 있다.
이처럼 탄소중립은 개인과 기업, 정부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기업이 탄소중립에 필요한 기술개발에 투자하고 이를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기업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가치로 친환경을 내세우고 탄소중립에 동참하고 있다.
인류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란 목표를 떠올리면 탄소중립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산업계를 비롯해 우리 주변의 탄소중립 실천 현장을 찾아간다.
▶특집기사 모아보기◀
순환경제로 탄소중립 뒷받침
무공해차 50만 대 시대 연다
환경 살리고 주민 의식 높이고
K-공감누리집의 콘텐츠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콘텐츠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출처] K-공감누리집(gonggam.korea.kr)